GAE endpoints를 를 공부하다보면, get, post 등으로 gae endpoint에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받는 코드가 있습니다.
web을 정식으로 배워보지 못한 사람으로서 get, post의 의미가 잘 와닿진 않았습니다.
제가 보기엔 두 방식 모두 요청하고 결과를 받는게 동일해보였기 때문입니다.
format 상으로는
- get이 url을 통해 정보를 포함해서 보내고
- post 는 body 에 정보를 실어서 보내는게 다르긴 하네요..
그래서 궁금해서 구글링을 해봤더니.. 역시 차이를 잘 알려주네요.
요청하는 방법에 따른 차이보다는 의미에 차이가 있었습니다...
단어 그대로의 의미입니다.
- get은 무언가 요청을 하여 받기 위한 용도입니다. 예를 들어 특정 게시물을 읽는것이 그러하겠죠.
- 반면 post는 무언가 서버에 값을 올리는 용도입니다. post라는 단어가 주는 뜻이 그러하죠..
예를 들어 게시물을 올리는 것이 post에 해당할 겁니다.
하나를 알아도 제대로 알아야 하는데..
맘만 앞서서 2% 부족하게 아는것이 슬프네요 ~ 휴~
'Programming > GCM 활용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ocal address 접근 방법 (from android app) (0) | 2016.11.11 |
---|---|
[JavaScript] ';'가 정의되지 않았습니다. (1) | 2016.06.19 |
[GCM with python] 2. Install Python with APP Engine SDK (0) | 2015.08.20 |
[GCM with python] 1. Intro (0) | 2015.08.20 |
[GCM] 4. 실행 (0) | 2015.08.05 |